뭐먹지?
급식배틀
급식배틀

급식배틀 앱 소개

500만 학생의 목소리로 만드는 새로운 급식 문화

🎯 앱 목적 및 취지

📊 급식 현황 및 배경

전국 급식 현황

  • 전국 학생 수: 약 500만명 (초중고)
  • 급식 제공 학교: 전국 11,000여개 학교
  • 일일 급식 제공: 약 450만식
  • 연간 급식비: 약 4조원 규모
  • 영양사 배치: 학교당 평균 1-2명

현재 관리 체계

  • 영양 관리: 교육부 학교급식법 기준
  • 원산지 표시: 의무화 (2008년부터)
  • 위생 관리: HACCP 시스템 도입
  • 품질 평가: 정성적 평가 위주
  • 학생 의견: 체계적 수집 시스템 부재

🚨 현재 문제점

1. 맛에 대한 피드백 부족

영양과 원산지는 철저히 관리되지만, 실제 학생들이 느끼는 '맛'과 '만족도'에 대한 체계적인 수집 시스템이 없습니다.

  • - 개별 학교 단위의 비정기적 설문조사만 존재
  • - 메뉴별 세부 평가 불가능
  • - 실시간 피드백 시스템 부재

2.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한계

급식 개선을 위한 객관적 데이터가 부족하여 경험과 추측에 의존한 메뉴 기획이 이루어집니다.

  • - 학생 선호도 데이터 부족
  • - 지역별/학교별 비교 분석 불가
  • - 계절별/요일별 패턴 분석 어려움

3. 급식 품질 격차

학교별, 지역별로 급식 품질의 편차가 크지만 이를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개선할 방법이 제한적입니다.

  • - 우수 급식 사례 공유 시스템 부재
  • - 급식 품질 벤치마킹 어려움
  • - 투명한 품질 정보 공개 한계

✅ 급식배틀의 해결 방안

1. 실시간 학생 의견 수집

전국 500만 학생의 급식 평가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빅데이터를 구축합니다.

  • - 메뉴별 5점 척도 평가 시스템
  • - 일일 급식 만족도 트래킹
  • - 개인별 선호도 패턴 분석

2. AI 기반 데이터 분석

수집된 데이터를 AI가 분석하여 급식 개선을 위한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.

  • - 메뉴 선호도 예측 모델
  • - 계절별/요일별 최적 메뉴 추천
  • - 영양 균형과 맛의 조화점 분석

3. 게임화를 통한 참여 유도

배틀과 퀴즈 시스템으로 학생들의 자발적 참여를 이끌어냅니다.

  • - 학교별 급식 배틀 시스템
  • - 교육과 연계된 퀴즈 챌린지
  • - 챔피언 시스템으로 동기 부여

4. 투명한 정보 공개

급식 품질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여 전체적인 품질 향상을 도모합니다.

  • - 실시간 급식 만족도 공개
  • - 우수 급식 사례 공유
  • - 개선이 필요한 영역 식별

🌟 기대 효과

📈

급식 품질 향상

데이터 기반 메뉴 개선으로 전국 급식 만족도 20% 향상 목표

🎓

교육 효과 증대

급식과 연계된 교육 콘텐츠로 학습 흥미도 및 영양 지식 향상

💰

예산 효율성

선호도 기반 식재료 구매로 음식물 쓰레기 30% 감소 목표

⚙️ 기술 스택

프론트엔드

  • • Next.js 14 (App Router)
  • • TypeScript
  • • Tailwind CSS
  • • React Hooks

백엔드 & 데이터

  • • Supabase (PostgreSQL)
  • • Row Level Security
  • • Real-time subscriptions
  • • Edge Functions

AI & 배포

  • • OpenAI GPT API
  • • DALL-E 이미지 생성
  • • Netlify 배포
  • • Serverless Functions

🚀 주요 기능

급식

급식 평가

  • • AI 생성 이미지와 함께 메뉴 확인
  • • 메뉴별 개별 별점 평가
  • • 소감 댓글 작성
  • • 부모님과 실시간 공유
배틀

급식 배틀

  • • 학교별/지역별 급식 순위
  • • 메뉴별 인기도 랭킹
  • • 실시간 배틀 현황
  • • AI 분석 리포트
퀴즈

교육 퀴즈

  • • AI 맞춤 퀴즈 출제
  • • 전 교과 연계 학습
  • • 주장원/월장원 시스템
  • • 오답노트 AI 분석

관심학교

  • • 다른 학교 급식 정보 구독
  • • 관심학교 퀴즈 참여
  • • 학교별 비교 분석
  • • 알림 및 업데이트 수신

👥 사용자별 가이드

🎓 초중고 학생

주요 활동

  • 1. 학교 등록 및 학년/반 설정
  • 2. 매일 급식 메뉴 확인 및 평가
  • 3. 친구들과 급식 배틀 참여
  • 4. 일일 퀴즈 도전으로 챔피언 되기

혜택

  • • 내 의견이 급식 개선에 반영
  • • 재미있는 게임으로 학습 효과
  • • 친구들과 건전한 경쟁
  • • 편식 개선 및 영양 교육

👨‍👩‍👧‍👦 학부모

모니터링 기능

  • • 자녀의 급식 평가 내역 확인
  • • 선호 메뉴 및 편식 패턴 파악
  • • 학교 급식 품질 정보 확인
  • • 퀴즈 참여도 및 학습 현황
  • • 관심학교 퀴즈 구독 및 알림

활용 방안

  • • 가정에서 영양 교육 연계
  • • 자녀와 급식에 대한 대화
  • • 학교 급식 개선 의견 제시
  • • 건강한 식습관 형성 지원
  • • 관심학교 퀴즈로 교육 참여

🏫 급식관계자

데이터 분석

  • • 실시간 급식 만족도 모니터링
  • • 메뉴별 선호도 통계
  • • 학교별/지역별 비교 분석
  • • AI 기반 개선 제안

업무 개선

  • • 데이터 기반 메뉴 기획
  • • 학생 피드백 즉시 반영
  • • 급식 품질 향상 근거 마련
  • • 투명한 급식 운영

📋 운영 규칙 및 정책

⭐ 평점 시스템 정책

평가 기준 및 방식

1-5점 척도 시스템
  • 5점: 매우 맛있음 (재주문 의사 있음)
  • 4점: 맛있음 (만족스러움)
  • 3점: 보통 (평균적인 맛)
  • 2점: 아쉬움 (개선 필요)
  • 1점: 매우 아쉬움 (대폭 개선 필요)
메뉴별 개별 평가
  • • 주식, 국/찌개, 반찬별 독립 평가
  • • 최대 8개 메뉴까지 개별 점수 부여
  • • 메뉴별 선택적 댓글 작성 가능

평가 제한 및 검증

시간 제한 정책
  • 평가 시간: 급식시간 후 ~ 당일 23:59까지
  • 수정 가능: 평가 후 2시간 이내 1회
  • 삭제 불가: 평가 완료 후 삭제 불가
악의적 평가 방지
  • • AI 기반 비정상 패턴 탐지
  • • 연속 극단 평가 시 경고 시스템
  • • 신고 접수 시 관리자 검토
  • • 부적절 댓글 자동 필터링

⚔️ 배틀 시스템 운영 정책

랭킹 계산 방식

가중치 적용 공식

최종점수 = (평균평점 × 0.7) + (참여도 × 0.2) + (일관성 × 0.1)

  • 평균평점: 해당 기간 메뉴별 평점 평균
  • 참여도: 전체 급식일 대비 평가 참여율
  • 일관성: 평가자들 간 점수 편차 역수
공정성 보장 장치
  • • 학교 규모별 그룹 분류 (소/중/대규모)
  • • 지역별 기후/문화 특성 고려
  • • 최소 참여자 수 기준 (일일 10명 이상)

배틀 스케줄러

자동 계산 스케줄
  • 일일 배틀: 매일 오후 11시 자동 계산
  • 주간 배틀: 매주 일요일 오후 11시
  • 월간 배틀: 매월 말일 오후 11시
  • 긴급 재계산: 관리자 수동 실행 가능
시스템 모니터링
  • • 계산 실패 시 자동 알림
  • • 성능 지표 실시간 모니터링
  • • 데이터 무결성 검증
  • • 백업 및 복구 시스템

🧠 퀴즈 챌린지 정책

출제 및 참여 규칙

AI 퀴즈 생성 정책
  • 출제 시간: 매일 오전 6시 자동 생성
  • 난이도 조절: 학년별 맞춤 난이도
  • 교과 연계: 국어, 수학, 과학, 사회, 영어
  • 급식 연관성: 당일 메뉴와 70% 이상 연관
참여 제한 및 보상
  • 참여 횟수: 1일 1회 (오전 6시 ~ 익일 5시 59분)
  • 제한 시간: 문제당 60초 (총 5분)
  • 재도전: 불가 (공정성 보장)

챔피언 선발 시스템

주장원/월장원 기준
  • 주장원: 주간 최고 점수 + 연속 참여
  • 월장원: 월간 누적 점수 1위
  • 동점 처리: 참여 일수 → 평균 소요시간 순
  • 자격 요건: 최소 주 5일 이상 참여
오답노트 AI 분석
  • • 개인별 취약 영역 분석
  • • 맞춤형 복습 문제 추천
  • • 학습 패턴 분석 리포트
  • • 학부모 공유 기능

🔧 시스템 운영 정책

테스트 모드 vs 프로덕션 모드

테스트 모드 (개발/검증용)
  • 데이터: 샘플 데이터 사용
  • AI 기능: 제한된 API 호출
  • 알림: 개발팀에게만 전송
  • 배틀 계산: 수동 실행
  • 접근 권한: 개발팀 + 베타 테스터
프로덕션 모드 (실제 서비스)
  • 데이터: 실제 사용자 데이터
  • AI 기능: 전체 기능 활성화
  • 알림: 실제 사용자에게 전송
  • 배틀 계산: 자동 스케줄러 실행
  • 접근 권한: 모든 등록 사용자

데이터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

개인정보 수집 최소화
  • 필수 정보: 이메일, 생년월일, 학교 정보
  • 선택 정보: 프로필 이미지, 닉네임
  • 수집 금지: 실명, 주소, 전화번호
  • 보관 기간: 탈퇴 후 즉시 삭제
데이터 암호화 및 보안
  • 전송 암호화: TLS 1.3 적용
  • 저장 암호화: AES-256 암호화
  • 접근 제어: Row Level Security (RLS)
  • 감사 로그: 모든 데이터 접근 기록

⚠️ 서비스 제재 및 신고 정책

금지 행위 및 제재 조치

금지 행위
  • • 허위 정보 입력 및 다중 계정 생성
  • • 악의적 평점 조작 및 스팸 댓글
  • • 타 사용자 괴롭힘 및 부적절한 언어
  • • 시스템 해킹 시도 및 보안 위협
제재 단계
  • 1단계: 경고 (7일간 일부 기능 제한)
  • 2단계: 정지 (30일간 서비스 이용 금지)
  • 3단계: 영구 정지 (계정 삭제)

신고 및 이의제기

신고 처리 절차
  • 접수: 앱 내 신고 버튼 또는 이메일
  • 검토: 48시간 이내 1차 검토
  • 조치: 7일 이내 최종 결정 통보
  • 피드백: 신고자에게 처리 결과 안내
이의제기 절차
  • 기간: 제재 통보 후 14일 이내
  • 방법: 공식 이메일로 증빙자료 첨부
  • 재검토: 독립적인 검토위원회 심사
  • 결과: 14일 이내 최종 결정